가정의 달 윈윈에서 특별한 혜택을 확인해보세요

낚싯줄 기본지식 

기준이 되는것들은?

기준은 장르에 따라 앵글로 성향에 따라 기술에 따라 다르게 될 것입니다. 저가형을 찾는 분이, 감도가 우선인 것을 찾는 분이, 얇은 줄(라인)을 찾는 분이, 합사량이 높은 것을 찾는 분이, 시인성이 좋은 것을 찾는 분이 계실 겁니다. 이처럼 낚싯줄(라인)을 고르는 기준은 매우 다양하기에 초보자분들은 먼저 어떤 장르에 낚시를 하실 것인지 결정한 후에 라인 컨설팅 (Line Consulting)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줄(라인) 교체 시기?

PE 라인:

라인에 보풀이 생기면 생긴 부위를 잘라내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통 수분을 많이 먹고 릴 밑 가이드에 열화가 생겨 내구성이 약해집니다.) 라인이 짧아졌을 때 교체하시면 됩니다.

나일론/카본:

매듭에서 쉽게 끊어지면 교환하십시오. (호수마다 원자재마다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품 설명에 유의하셔서 다뤄야 합니다.)


고급 줄(라인)이란?

고급줄은 보통 비싼 줄을 뜻하게 됩니다. 비싼 줄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일반 저렴한 줄에 비해 후 가공 처리부터 고급 원자재 가 사용되며 기능적으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또한, 특정된 장르에 정해진 줄(라인)의 경우 그 장르로 출시된 제품이기에 다른 어종을 잡을 때 사용 시 불이익이 따르게 될 수도 있습니다. 보통 자주 출조하시는 앵글러 분들 위주로 찾으시게 됩니다. 이유는 내구성, 조작성, 강도를 들 수 있습니다.


얇을수록 좋다?

낚싯줄(라인)이 얇을 수 록 물고기가 잘 잡힌다는 것은 어느 정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줄(라인)이 얇은 만큼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여 섬세한 조작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경험이 많은 앵글로들에게 자주 사용됩니다.


PE 합사에 리더가 필요?

PE 계열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강한 것은 철보다 강한 것도 존재하며 약한 것은 내마모성에 취약합니다. 보통은 신장력이 없어 강한 순간적인 충격에 끊어지게 되는데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더(Leader)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어떤 종류의 PE 합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후로로 (일본식표기 발음; '풀루오로': 영어식표기 발음)  카본 (Fluoro Carbon)나 나일론 (Nylon)으로 나누어집니다. 여러 조합으로 시험(test) 해 보신 후 자신에게 맞는 라인을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가성비 낚싯줄(라인)?

많은 분들이 저렴하지만 가성비 좋은 줄을 찾으십니다. 하지만 비교적 저렴한 줄에는 다 이유가 있기 마련입니다. 오래돼서 덤핑 재고로 인한 저가형 줄(라인)이라든지, 원자재가 오래된 것을 사용한 더던지 후가공이 안 들어간다든지 여라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특히, 저렴한 라인과 고급 라인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격저렴고급
후가공X
O
원자재불분명
표기가 정확하다.


또한 소재에 따라 가격차이가 나게 됩니다. 나일론 (Nylon)은 탄력적이며 부드럽습니다. 동시에 취급하기가 비교적 쉬운 편이죠. 하지만 강도나 취약한 내구성이 단점으로 부각됩니다. 그래서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후 가공 처리를 하는데 동시에 가격이 상승합니다.

낚시 빈도수가 적은 초보자분들이시라면 저렴한 라인을 구입 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장르에 맞게 라인 컨설팅 (Line consulting)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PE 라인의 경우 범용으로 많이 쓰이는 라인으로 감도와 강도를 동시에 원하시는 분들이 많이 찾으십니다. 하지만 초보자분들이 바로 사용하시기에는 어려움이 비교적 많습니다. PE 특성상 아무리 코팅을 한다고 해도 물을 흡수하며 원래의 감도가 떨어지며 이를 두고 저품질이라는 말이 나오는 줄(라인)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앵글로들의 경험과 지식이 많이 요구되는 종류입니다.

따라서 본인의 낚시 빈도수 밑 경험을 근거로 구입하는 방법을 추천해 드립니다



어종에게 안 보이는 색?

많은 어종이 색맹이라고 하지만 다 그런 건 아니라고 합니다. 공기 중에 투과되는 색과 수중에서 투과되는 색은 굴절각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기에 색을 감지할 수 있는 건 수중 깊이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빛의 스펙트럼이 물에 투과되며 처음 사라지는 색이 빨간색인데 붉은 계열의 제품은 거의 못 본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 자료) 코넬대학교 

Cornell Center for Materials Research - Do fish see in color?




매듭은(노트)?

매듭 역시 개인의 선호도나 경험에 따라 다양하게 나눠집니다. 보통 무난하게 PE와 쇼크 리더(shock leader)를 사용할 때 PR 매듭 (PR 노트) 법이 강한 결절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낚싯줄 궁금증? 

모든 것은 균형! 밸런스! 

낚싯줄(라인)의 호수를 선책 할 때는 여러 가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보통은 얇으면서 강한 줄(라인), 아니면 대어를 낚기 위해 높은 호수를 사용합니다.

얇고 가는 줄(라인)을 선호하시면, 낚싯대의 Flex 상태가 부드러운 것을 선택하며 릴의 드렉 설정도 평소보다 약하게 설정해 놓는다면 줄의 끊어짐 현상을 현저히 낮출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설정으로 대상어를 놓치지 않을 확률은 올라갑니다.

낚시 중 장애물, 바위, 밑걸림에 의해 쓸려 줄(라인)이 손상되어 끊어지는 현상이 빈번하여 높은 호수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이럴 때는 낚싯대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낚싯대가 부러질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굵어짐에 따라 조류의 영향도 받게 되며 섬세한 조작 (컨트롤) 이 요구가 됩니다. 그래서 경험이 풍부한 대물 전문 지깅맨 (Jigging man)들에게 주로 사용됩니다.

무엇보다도 어떤 장르에서 사용할지 구상하신 후에 라인을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낚싯줄 호수의 기원은?

호수 개념은 처음 일본 어업 용품 공업회에서 만들어졌으며 일본에서만 공용되는 단위입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것은 아니며, 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는 이 기준을 따라 표기하고 있습니다. 일본과 우리나라를 제외한 해외에서는 보통 장력 파운드 테스트 (Lb)를 기준으로 줄(라인)의 단위를 표시합니다.


줄(라인) 두께? 

줄(라인)이 굵다고 대상어를 많이 못 잡는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굵으므로 따라오는 장점도 상당히 많으며 특히 조작(컨트롤)이 섬세하지 않는다면 얇은 줄 밑 부드러운 줄은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먼저 라인과 액세서리 조합을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봉돌부터 시작하여 무게 등등 자기 자신에 맞는 최적의 밸런스를 찾아야 합니다.

누군가 얇은 줄(라인)으로 대상어를 많이 히트했다고 해서 따라 했다가 큰 낭패를 봤다는 조사님들의 말씀도 자주 들었습니다.

먼저 자기 자신이 가늠할 수 있는 힘에 따라 밸런스를 찾아보시고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낚싯줄 용어정리 

내마모성

마찰에 의한 강도입니다.


강력

줄의 강도를 테스트할 때 사용되는 단위입니다.


합사 (barid line)

PE 라인에서 사용되며 보통 4, 6, 8, 12 가닥으로 꼰 합사를 말합니다.

또한, PE 라인만 꼬는 것이 아닌 금속 라인부터 나일론 카본도 가능합니다.


신장률

낚싯줄(라인)에 텐션을 주었을 때 얼마나 늘어나는지 알아보는 지표입니다.


퍼머현상 (permanent)

낚싯줄(라인)이 온도 및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장시간 감겨있다 풀었을 때 용수철과 같이 꼬여있는 현상을 일컫는다. 또는 메모리(memory) 현상이라고 한다.


직진성

낚싯줄(라인)에 퍼머 현상이 적거나 비교적 덜한 줄을 표현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좋은 줄일 수 록 양손으로 잡아당겼을 때 잘 펴집니다.

흡수성

낚싯줄(라인)이 줄에 물이 흡수되는 것을 가리키며, 나일론의 경우 물을 흡수하기에 라인 교체 주기가 다른 라인에 비해 빠릅니다.
흡수를 한다고 단점도 있지만 장르에 따라 장점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예; 부드러워진다.)


플로트(Float)

플로트란 영어 Float 단어를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물 위나 공중에서) 떠[흘러]가다[떠돌다]’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보통 나일론 (Nylon) 줄 라인 내부에 중공구조를 설계하여 물에 떠오르게 하는 라인을 일컬어 플로트 라인이라고 합니다. 또한 세미 플로트(semi-float)라고 하여 보통 나일론보다는 약간 가라앉혀서 만든 라인도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채비 정렬을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비중 (Specific Gravity) 

물리학에서 쓰이는 용어이며, 낚시에서는 물의 비중을 1.0 기준으로 설정하여 무겁고 가벼운 라인을 판단할 때 쓰이는 단어입니다.   


시인성

낚싯줄(라인)이 육안으로 잘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매장찾기

해당 지역에서 브랜드 매장, 샵인샵 (취급점) 또는 소매업체를 알아보세요

회원가입

신제품 출시 및 얼리버드 할인코드 그리고 이벤트 초대까지! 이 모든 기회를 받으려면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고객센터

정보가 부족하신가요? A/S가 필요하신가요? 성심성의것 여러분의 문제해결레 앞장서겠습니다.

HOME      |      SITEMAP     |     CONTACT     |     법적고지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